중2도덕②-교학사(박찬석) 교과서목차
I.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1. 인간 존재의 특성
1.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12
2.인간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16
3.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21
2. 자율과 도덕
1.타율의 문제점은? 28
2.자율과 도덕의 관계는? 32
3.도덕적으로 자율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36
3. 도덕적 자아상
1.나는 누구인가? 42
2.나의 인생관은 무엇인가? 48
3.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자 하는가? 52
4. 공부와 진로
1.인간의 삶에서 일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58
2.공부는 왜 하는가? 62
3.진로·진학 선택 과정에서 도덕적 고려는 왜 필요한가? 66
5. 도덕적 탐구
1.도덕적 상상력과 도덕적 추론 74
2.비판적 사고 79
3.도덕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의 중요성과 방법 83
II. 우리·타인과의 관계
1. 타인 존중의 태도
1.타인 존중의 의미는? 94
2.타인 존중과 자기 존중의 관계는? 99
3.타인을 존중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03
2. 평화적 해결과 폭력 예방
1.폭력 행동이 가져오는 결과는? 110
2.폭력 행동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방법은? 115
3.평화적인 갈등 해결은 어떻게 가능한가? 120
3. 청소년 문화와 윤리
1.청소년 문화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128
2.청소년 문화를 평가한다면? 132
3.청소년기를 가치 있게 보내려면? 136
III. 사회·국가·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1. 사회 정의와 도덕
1.사회 정의란 무엇인가? 146
2.부패 행위, 왜 문제이고 해결책은 무엇인가? 150
3.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려면? 154
2. 개인의 도덕적 삶과 국가의 관계
1.국가는 왜 필요한가? 160
2.국가가 개인의 도덕적 삶에 미치는 영향은? 164
3.어떤 국가가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국가인가? 168
3. 국가 구성원으로서 바람직한 자세
1.바람직한 애국심이란 무엇인가? 174
2.준법은 왜 중요한가? 179
3.시민 불복종을 어떻게 볼 것인가? 183
4.사익과 공익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 187
4. 세계화 시대의 우리의 과제
1.한국인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194
2.세계 속의 한국인의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가? 198
3.오늘날 지구 공동체가 처한 상황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202
IV.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1. 마음의 평화와 도덕적 삶
1.인간의 고통은 왜 생기는 것일까? 212
2.모든 것을 용서할 수 있을까? 218
3.마음을 어떻게 다스릴 수 있을까? 224
2.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
1.이상적 인간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30
2.이상적 인간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235
3.이상 사회 실현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