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중2도덕②

도덕②(천재교육-박찬구) 목차(쪽수 표시)

kdom(케이돔) 2015. 7. 29. 11:51

Ⅰ.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01. 인간 존재의 특성

 (1)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14

 (2) 어떤 삶이 인간다운 삶일까? 18

 (3)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21

02. 자율과 도덕 

 (1) 타율의 문제점은? 28

 (2) 자율과 도덕의 관계는? 32

 (3) 도덕적으로 자율적인 인간이 되려면? 37

03. 도덕적 자아상 

 (1) 나는 누구인가? 44

 (2) 나의 인생관은 무엇인가? 49

 (3)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자 하는가? 52

04. 공부와 진로 

 (1) 인간의 삶에서 일이 갖는 의미는? 60

 (2) 공부는 왜 하는 것일까? 64

 (3) 진로‧진학 선택의 바람직한 방향은? 70

05. 도덕적 탐구 

 (1)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는? 80

 (2) 비판적 사고는 왜 필요할까? 87

 (3) 도덕적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은 어떻게? 91
   

  

Ⅱ. 청소년과 타인 존중

01. 타인 존중의 의미는? 

 (1) 타인 존중의 의미는? 102

 (2) 타인 존중과 자기 존중의 관계는? 106

 (3) 나는 타인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109

02. 평화적 해결과 폭력 예방 

 (1) 폭력이 가져오는 결과는? 116

 (2) 폭력 없는 세상, 어떻게 만들까? 121

 (3) 평화적인 문제 해결은 어떻게 가능할까? 126

03. 청소년 문화와 윤리 

 (1) 청소년 문화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134

 (2) 청소년 문화를 평가한다면? 138

 (3) 청소년기를 보다 가치 있게 보내려면? 142
    

     

Ⅲ. 사회 정의와 국가

01. 사회 정의와 도덕 

 (1) 사회 정의란 무엇일까? 152

 (2) 부패 행위의 문제점과 해결책은? 158

 (3) 공정한 경쟁은 어떻게 가능할까? 163

02. 개인의 도덕적 삶과 국가의 관계 

 (1) 국가는 왜 필요할까? 172

 (2) 국가는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줄까? 176

 (3)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국가는 어떤 모습일까? 182

03. 국가 구성원의 바람직한 자세 

 (1) 바람직한 애국심이란 무엇일까? 192

 (2) 법은 왜 지켜야 할까? 196

 (3) 국민의 의무와 시민 불복종을 어떻게 볼 것인가? 199

04. 세계화 시대의 우리의 과제 

 (1) 한국인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208

 (2) 세계 속의 한국인의 역할과 과제는? 214

 (3) 지구 공동체가 처한 상황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218

  
   

IV. 이상적인 삶

01. 마음의 평화와 도덕적 삶

 (1) 인간의 고통은 왜 생기는 것일까? 230

 (2) 진정한 용서란 무엇일까? 234

 (3) 마음을 어떻게 다스릴 수 있을까? 238

02.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

 (1) 이상적인 인간을 향하여! 246

 (2) 이상 사회를 향하여!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