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동아출판-김창원) 목차
Ⅰ. 문학과 우리 사회
1. 문학과 인접 분야 _ 12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김춘수) _ 14
*해산 바가지(박완서) _ 20
2. 문학과 매체 _ 32
*토지(박경리 원작, 오세영 글・그림) _ 34
*수선화에게(정호승 시, 문태준 배달) _ 46
Ⅱ. 문학의 수용과 생산
1. 서정 문학의 수용과 생산 _ 60
*어부사시사(윤선도) _ 64
*조그만 사랑 노래(황동규) _ 70
*고양이(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_ 76
2. 서사 문학의 수용과 생산 _ 84
*이생규장전(김시습) _ 88
*병신과 머저리(이청준) _ 98
3. 극 문학의 수용과 생산 _ 116
*결혼(이강백) _ 118
*페이스메이커(정현우 각본, 김달중 감독) _ 132
4. 교술 문학의 수용과 생산 _ 144
*통곡할 만한 자리(박지원) _ 146
*참새(윤오영) _ 152
*아버지의 뒷모습(주쯔칭) _ 160
Ⅲ.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1)
1. 한국 문학의 태동(상고 시대) _ 176
*단군 신화 _ 180
*구지가 _ 186
2. 한국 문학의 형성과 정착(삼국 시대~고려 시대) _ 194
*찬기파랑가(충담) _ 198
*서경별곡 _ 204
*국선생전(이규보) _ 210
3. 한국 문학의 성장(조선 시대) _ 220
*시가 세 편 224 _
*속미인곡(정철) _ 230
*홍계월전 _ 236
*봉산 탈춤 _ 248
Ⅳ.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2)
1. 한국 문학의 전환(개화기~일제 강점기) _ 264
*만세전 (염상섭) _ 268
*여우난골족 (백석) _ 280
*산촌 여정 (이상) _ 286
*절정 (이육사) _ 294
2. 한국 문학의 모색과 발전(광복 이후~1970년대) _ 302
*청산도 (박두진) _ 306
*관광 지대` (박조열) _ 312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조세희) _ 324
3. 한국 문학의 다양화(1980년대 이후) _ 338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 평론 (정끝별) _ 342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고정희) _ 348
*은어 낚시 통신 (윤대녕) _ 354
Ⅴ. 문학과삶
1. 문학과 자아 _ 374
*참회록 (윤동주) _ 376
*주옹설 (권근) _ 381
*연금술사 (파울루 코엘류) _ 386
2. 문학과 공동체 _ 396
*원어 (하종오) _ 398
*그림엽서 (곽재구) _ 404
*순간의 꽃 (고은) _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