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천재교육-정재찬) 목차
I. 문학의 소통과 향유
1. 문학 작품의 이해 12
(1) 문학의 내용과 형식 14
산도화(박목월) 16
유자소전(이문구) 20
(2) 문학과 맥락 30
사씨남정기(김만중) 32
견우의 노래(서정주) 42
2.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 48
(1) 작품의 비판적·창의적 수용 50
규원가(허난설헌) 52
로미오와 줄리엣(윌리엄 셰익스피어) 58
(2) 작품의 재구성과 창작 68
사평역(임철우) 70
처삼촌 묘 벌초하기(성석제) 80
3. 문학의 확장 88
(1) 문학과 매체 90
향수(정지용) 92
내 마음의 풍금(하근찬 원작 / 이영재 각본) 97
(2) 문학과 인접 분야 106
남한산성(김훈) 110
항아리, 시를 담다(조용훈) 118
II. 한국 문학의 이해
1. 한국 문학의 특성 130
(1)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132
속미인곡(정철) 134
태평천하(채만식) 140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8
동양 삼국의 옛 시들(황진이, 마쓰오 바쇼, 이백) 150
엄마를 부탁해(신경숙) 155
2.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166
(1) 서정 갈래의 흐름 168
제망매가(월명사) 172
정석가 176
시조 세 편(성삼문 외) 180
즐거운 편지(황동규) 184
(2) 서사 갈래의 흐름 188
조신의 꿈(일연 편) 192
이생규장전(김시습) 198
흥보전 206
만세전(염상섭) 216
(3) 극 갈래의 흐름 226
봉산 탈춤 228
원고지(이근삼) 236
(4) 교술 갈래의 흐름 244
공방전(임춘) 248
통곡할 만한 자리(박지원) 254
몇 어찌(양주동) 260
3. 한국 문학과 시대 상황 270
(1) 시대 배경의 반영 272
경부 텰도 노래(최남선) 274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박태원) 278
(2) 당대 인물의 형상화 290
한림별곡(한림 제유) 292
광장(최인훈) 296
성에꽃(최두석) 306
(3) 역사의식의 표현 310
임진록 312
절정(이육사) 320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조세희) 324
III. 문학과 삶
1. 문학과 개인 338
(1) 문학적 가치의 내면화 340
흰 바람벽이 있어(백석) 342
주옹설(권근) 346
(2) 문학적 사고와 창의성 350
한국 생명 보험 회사 송일환 씨의 어느 날(황지우) 352
날개(이상) 356
2. 문학과 공동체 366
(1) 문학과 삶의 다양성 368
로디지아 발 기차(네이딘 고디머) 370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김수영) 380
(2) 문학과 공동체 의식 384
성북동 비둘기(김광섭) 386
명랑한 밤길(공선옥) 390
(3) 문학과 공동체 문화 398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양귀자) 400
감탄과 연민(고재종) 410
부록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