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2

문학(지학사-권영민) 목차

1. 문학의 수용과 생산

[1] 문학의 수용
 01 고향 |정지용|................................................. 16
 02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박태원|........................ 20
 03 호질 |박지원|................................................. 32
 04 원고지 |이근삼|.............................................. 40

[2] 문학의 생산
 01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장정일|... 54
 02 미스터 방 |채만식|.......................................... 58
 03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 ...............................66

 

 

2. 문학의 매체와 인접 분야
[1] 문학과 매체
 01 선운사에서 |최영미| ....................................... 84
 02 내 마음의 풍금 |하근찬 원작`/`이영재 각색| ............ 88

[2] 문학의 인접 분야
 01 민중의 사랑, 인내 그리고 힘 |방민호|.............. 100
 02 달과 6펜스 |서머싯 몸|................................... 106

 

 

3.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 120
[1] 고대 문학
 01 단군 신화 ..................................................... 124
 02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아내| .......................... 130
[2] 중세 문학
 01 제망매가 |월명사|......................................... 140
 02 서경별곡 |작자 미상| ..................................... 144
 03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150
 04 도산십이곡 |이황| ........................................ 160
 05 속미인곡 |정철|............................................ 164

[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01 어이 못 오던다 |작자 미상| ............................. 174
 02 소대성전 |작자 미상|...................................... 178
 03 절명시 |황현|................................................188
 04 구마검 |이해조| .............................................192
[4] 근·현대 문학`(1) - 일제 강점기 문학
 0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206
 02 만세전 |염상섭| ............................................ 212
 03 달밤 |이태준|................................................ 220
 04 산촌 여정 |이상|........................................... 228
 05 낙화 |조지훈| ................................................234

[5] 근·현대 문학`(2) - 광복 이후의 문학
 01 눈 |김수영| .................................................. 242
 02 삼포 가는 길 |황석영|.................................... 246
 03 파수꾼 |이강백| .............................................258
 04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황지우| ...........270
 05 서정시대 |은희경|..........................................274

 

 

4. 한국 문학의 전통과 성격

[1]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01 접동새 |김소월|............................................ 290
 02 유자소전 |이문구|......................................... 294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01 님의 침묵 |한용운|........................................ 306
 02 적벽가 |작자 미상|......................................... 310
 03 1984 |조지 오웰| ........................................... 318

 

 

5. 문학과 나의 삶

[1] 문학의 가치와 내면화
 01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 334
 02 무소유 |법정| ............................................... 338
 03 너와 나만의 시간 |황순원|............................... 344
[2] 자아와 타자
 01 참회록 |윤동주|............................................. 354
 02 줄 |이청준|................................................... 358
[3] 문학과 창의적 사고
 01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 |네루다|................ 370
 02 자정의 픽션 |박형서|...................................... 374

 

 

6. 문학과 공동체

[1] 공동체와 소통하는 문학
 01 광장 |최인훈| .............................................. 392
 02 순후와 질박함에 대하여 |공선옥|.................... 400
 03 바퀴벌레는 진화 중 |김기택|.......................... 406
[2] 공동체에 기여하는 문학
 01 모닥불 |백석|............................................... 412
 02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박완서| ....................... 416

 

 

부록

1. 저자 및 출처 ....................................................... 429
2. 이미지 출처........................................................ 433
3. 찾아보기.............................................................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