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3

독서와문법(지학사-이삼형) 목차

1. 독서와 언어의 본질

01 독서의 본질 10
(1) 독서의 특성 12
     고독한 성찰과 불안한 의심의 극장 - 도정일 14
(2) 독서의 과정과 방법 20
     급격한 기후 변화는 정말 일어날까? - 박미용22
02 언어의 본질 32
(1) 언어와 인간 34
     일상 언어의 근원 - 정대현 36
(2) 언어의 특성 42
     동물의 언어 - 김진우 44

 

 

2. 독서의 원리

01 글의 구성 원리 56
(1) 글의 특성 58
    양성성에 관하여 - 정진경 60
(2) 글의 구조 66
    왜 역사에서 현재성이 중요한가 - 강만길 68
02 독서의 방법 76
(1) 사실적 읽기 78
    80퍼센트는 공기다, 감자 칩 - 데이비드 보더니스 80
(2) 추론적 읽기 86
    무죄의 추정 - 김두식 88
(3) 비판적 읽기 98
    분서갱유: 사사로운 학문은 인정할 수 없다 - 이사 100
(4) 감상적 읽기 108
    감탄과 연민 - 고재종 110
(5) 창의적 읽기 118
    매트릭스: 나는 선택한다, 이 길을! - 이왕주 120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01 음운 134
(1) 음운의 개념과 체계 136
(2) 음운 변동 144
02 단어 152
(1) 품사 154
(2) 단어의 형성 170
(3) 단어의 의미 180
(4)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188
03 문장 194
(1) 문장의 성분 196
(2) 문장의 구조 204
(3) 문법 요소 212
04 담화 228
(1) 담화의 의미와 맥락 230
(2) 담화의 통일성과 응집성 236

 

 

4. 독서의 실제

01 독서와 국어 생활 246
(1) 시대에 따른 글 읽기 248
    책 읽는 소리- 정민 250
    상기(象記) - 박지원 256
    무정 - 이광수 264
(2) 지역에 따른 글 읽기 270
    천일 야화 - 앙투안 갈랑 272
    모자 철학 - 앨프리드 가드너 280
    로디지아발 기차 - 네이딘 고디머 288
(3) 주제 통합적 글 읽기 300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302
    목민심서 - 정약용 306
02 독서의 생활화 312
(1) 다매체 시대의 독서 314
    세계 명화의 비밀 - 모니카 봄 두첸 316
(2) 독서의 실천과 성찰 328
    “동물 권리 선언”을 읽고- 인디고 서원 330

 

 

5. 국어의 역사

01 국어의 변천 344
(1) 국어의 계통과 형성 346
(2) 표기와 음운의 변천 350
(3) 단어와 문장의 변천 360
02 국어의 수난과 발전 370
(1) 국어 수난의 역사 372
    국문론 - 주시경 374
(2) 통일 시대의 국어 380
    기철이의 하루 따라잡기 - 오영진 382
(3) 세계화 시대의 국어 388
    한국어의 힘 - 이익섭 390

 

 

부록

❶ 찾아보기 399
❷ 제재 글 출처 403
❸ 이미지 자료 출처 407